-
S공포, 물가상승, 피크아웃 왔나? 주식, 부동산(ft.인플레이션과 화폐가치,락바텀, 바텀아웃, 중개수수료인하)부자되는 재테크 2021. 10. 11. 23:28728x90728x90SMALL
밀크 인플레이션
우유 관련 주식
물가상승과 스태그플레이션
금리인상
피크아웃
주식과 부동산
중개수수료 인하
#밀크인플레이션
우유 가격이 인상되면서 관련 업계에서는 우유제품을 수입품으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카페나 베이커리 업체에서는 우유값 인상이 적지 않은 원가부담이 되기 때문이죠, 소위 말해 밀크 인플레이션(milk inflation)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유제품 관련 도미노 물가인상 현상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지난 8월 낙농협회가 우유의 원재료 가격을 2.3%, 약 21원(1리터당 926원에서 947원으로 ) 올렸고, 우유 대기업 남양유업과 매일유업이 가격 인상을 하면서 소비자들은 수입품을 선호하기 시작했습니다. 수입품도 유제품면에서 나쁘지 않다는 평가이므로 같은 값이면 수입품 쪽으로 소비형태가 기울고 있는 것 같네요.
남양유업이나 매일유업은 우유값 인상 이후로 이 같은 시장 변화에 주식이 하락 추세에 있습니다. 2학기 전면 등교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급식이 멈춰있고, 한국 식품업계에서 외면받고 있으니 코로나 상황이 끝나기 전까지는 고전을 면치 못할 것 같습니다. 주식투자자분들은 매일유업의 경우 전고점 10만 원대까지 여유가 있는 상황이고, 남양유업도 전고점 81만 원까지 주가 상승의 여력을 한 몸에 받고 있으니 장기로 기다리실 분은 지금이 매수 기회가 아닌가 싶네요. 매수 타이밍을 노려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소비자물가인상
국내 우유뿐 아니라, 돼지고기, 상추, 달걀 모든 물가가 상승한 지 몇 달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현실화되고 있는데요. 경유, 휘발유도 마찬가지고요. 소비자 물가 추이를 보면 전년 동일 기준 대비 무려 2.5% 이상 올랐습니다.
국내뿐 아니라, 미국도 마찬가지로 소비자 물가지수가 지난 1월 대비 4% 이상 상승했습니다, 노르웨이 및 신흥국들도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있다는 소식이고요, 미국, 영국도 통화정책을 긴축하고 있습니다, 유럽이나 일본도 현재는 초저금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만, 내년에는 금리 인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S공포와 원자재 가격 상승
지난해부터 상승하기 시작한 국제유가도 멈추지 않는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제유가상승과 인플레이션이 맞물려 다른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수도 있다는 경고는 우리가 이미 겪은 오일쇼크 때 잘 알고 있는 상황이죠. 이런 상황을 요즘 언론에서는 "S공포"라고하죠. 인플레이션을 넘어서 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하며 경기가 침체되는 현상)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세계 각국 은행들이 기준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의 인플레이션 원인은 원자재 가격 상승, 이로 인한 반도체 등 부품 공급망에 차질이 맞물려 있어 금리 인상을 해도 해법이 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11월에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을 시작할 것이고,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기준금리 인상 시점도 2023년에서 내년으로 앞당겨야 하는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고 해요.#미중분쟁과중국전력난
중국발 석탄 사용억제로 인한 전력난과 그에 따른 부품 공급망의 차질, 헝다그룹 부동산 사태와 미국 부채 한도 협상 난항까지 겹쳐 글로벌 경제가 불확실성으로 치닫고 있어 전 세계 투자 심리도 위축되어 가고 있을 것입니다. 국내 물가는 오르고 주가는 떨어지니 스태그플레이션 조짐이 나타난다고 연일 언론에서 걱정을 하고 있는데요, 하반기 유가 등 에너지 가격 상승이 지속되면 수입물가 상승에 따라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은 높아질 것이라 보고 있고 공공요금 인상, 식품 가격 상승세가 더해지고 #위드코로나(코로나시대 사적 모임 금지 없는 일상 회복)로 일상적인 소비 활성화가 가능하게 되면 물가는 더 상승할 것이라고 판단되고 있습니다.#금리인상
한은 금통위가 12일 본회의를 열고 기준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고 합니다. 지난 8월 한차례 금리를 올린 것은 2018년 11월 이후 33개월 만이었죠. 내년 3월에 있고 정부가 포퓰리즘 정책을 펴고 있는 이상 가계부채를 핑계로 인상은 불가피할 것입니다.
#피크아웃
한편 이러한 뒤숭숭한 상황에서 삼성전자는 8일 21년 3분기 매출 73조에 영업이익 15조 8,00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죠, 매출 사상 처음으로 70조 돌파했고 역대 2번째로 높은 영업 이익을 냈다는 소식에도 불구하고 장중 주가는 71,500원 까지 하락했죠,삼전뿐 아니라, 삼성 바이오, 삼성전기, 삼성 SDI, SK 그룹 등도 하락을 면치 못했습니다. 이미 주가는 피크아웃(Peak Out:고점)을 지나서 하락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주식이 고점이 있으면 언제나 저점이 있죠, 주식이 저점에 도달해서 바닥을 찍으면 락 바텀(rock bottom), 저점을 지나 상승세로 돌아서면 바텀 아웃(bottom out)이라고 합니다. 2020년 3월 우리는 락 바텀을 경험한 바 있습니다. 아마도 우리는 지난 2020년 연말 한차례의 피크아웃을 지난듯합니다.
#주식과부동산
부동산에도 피크아웃이 있다고 봐야죠, 고점을 찍고 하강 내지는 정체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구지역 미분양이 공급물량 급증으로 거래량은 있지만 입지조건이 떨어지는 지역은 미분양이 늘고 있습니다. 2024년 이후에서야 적정량으로 공급되기 시작하는데요, 적어도 그때까지는 상승세를 이어가기에는 역부족일 것입니다. 자금이 있으시다면 지금 입지조건이 양호한 곳의 미분양을 잡는 것도 방법이겠습니다.주식이 일반적으로 하락하는 시기가 오면 부동산도 그에 따른 하강곡선을 그리는 시기가 올 것이라고 판단합니다. 주식이 상승하면 부동산도 그에 따라 같이 동반 상승하는 심리가 작용하고 있는 것을 우리는 경험하고 있습니다. 과거 리먼사태 같은 큰 사건이 발생해야 볼 수 있는 경기 침체는 안 오겠지만, 지금 글로벌 경제가 불확실성으로 보이는 시기에는 주식도 부동산도 같은 한 몸으로 봐야 할 것입니다. 정부 부동산 정책과 대출 규제, 그리고 금리인상으로 쉽게 움직이지 못하는 투자자들은 한걸음 쉬고 가는 방법도 좋은 대안일 수 있다고 봅니다.
#중개수수료인하
중개수수료가 인하된다고 해서 부동산 거래가 비활성화되지는 않고 오히려 더 활성활 될 것이라고 전망됩니다. 반값으로 거래수수료가 인하되는 효과가 있어서 아무래도 정부는 10월 이번 달부터 시행할 방침인 듯합니다. 부동산 가격에 따라 중개수수료가 인하되면 소비자로서는 좋지만 한편으로는 부동산 공인중개사분들에게 경제적 타격이 오지 않을까 걱정하는 주변분들이 계십니다. 하지만 매매는 9억 이상, 임대차는 6억 이상 구간에서 조정된 것이기 때문에 큰 걱정을 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728x90반응형LIST'부자되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페이 공모주 청약방법, 청약증거금, 균등배정, 수요예측,예상수익(ft.핀테크산업과 카카오페이전망) (5) 2021.10.24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하이에크가 권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시대의 대처법은? 그 해법은 바로? (6) 2021.10.20 네이버블로그 수익 구조 감지?누구나 할수 있는 일?열정페이에 도전한다!(ft.블로그 수익구조의 비밀,시간에 투자하는 삶,변화의 시간) (29) 2021.10.02 연봉3,000만원으로 순자산 10억을 만든 비결_1(ft.종자돈,대출,부동산투자,지렛대효과,전세갭투자,아파트청약,인플레이션헷지) (27) 2021.09.25 다른 애드센스계정이 없어야합니다. 애드센스 승인 거부 결정에 대한 구체적이유도 거절한다? (31) 2021.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