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택자
-
주택가격추이,규제의 역설, 역사는 반복, 오피스텔규제완화, 분양가상한제 완화,분양가 상승,무주택자 불만 고조월천사 칼럼 2021. 9. 21. 20:41
- 서론 - 진보정권 왜 집값 안정을 외치는 건가? - 집값 안정시기는 언제 올까? - 다주택자는 정부규제로 집을 팔까? - 분양가 규제완화와 비주택규제 완화 불러올 파장은? 정부가 부동산 정책으로 전국을 투기지역으로 만들었고 집값은 천정을 뚫고 지속 치솟고 있는 2021년을 지나고 있다. 추석이 끝나고 전월세 시장은 더욱 불안해질 전망이라고 언론은 계속 뉴스를 내보낸다. 이 시점에서 지나온 과거를 돌아보고 투자자들에게 한수 더 배워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1. 진보 정권에서는 왜 집값 안정을 외치는 걸까?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부터 시작된 부동산 정체는 2013년까지 바닥을 치는 해를 맞이하였다. 2014년 1월이 되자마자 분양되는 아파트마다 일주일새 완판되는 기염을 토하면서 시장은 반전의 기미..
-
대출못받을까봐 불안하신분들에게 드리는 조언(ft.정부정책에대한 소고)월천사 칼럼 2021. 8. 28. 07:41
대출을 받아야하는데 이제는 대출사다리까지 걷어차버리는 상황이 왔네요. 어느 분이 좋은 내용을 보내주셔서, 도움이 될까해서 그 내용을 여기에 올려봅니다. 고민에 빠지신 분들이 많아보여서.. 그냥 주저리주저리 몇자 써 봅니다. 1. 원래 은행은 연간 대출 목표치가 있다. 금융위에서 정해주는 가이드라인도 있고. 은행 자체적으로 영업목표로 정해놓는 가이드 라인이 있습니다. 보통 이 목표를 3분기 또는 4분기에 채우기 마련이고, 그래서 연말로 갈수록 은행은 대출에 소극적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연초에는 조건이 좋고 적극적으로 대출 마케팅을 하겠죠? 2. 주택담보대출은 가장 안전한 대출. 지금 남아있는 시중은행들은 대부분 IMF때 한번씩 무너지거나 인수합병 등의 과정을 거쳤지요. 반대로 가장 무탈하게 그 시기를 넘겼..